웹 2.0의 수익성은.....웹하드?

렛츠웹 + 게임/IT News 2009. 2. 26. 13:29
작년초에 비교하여 이제 웹 2.0 이라는 말이 그렇게 흔하게 논의되거나 말이 나오지 않는다
일부 웹 3.0 이라는 말까지 나오기도 하지만..
하지만 웹 2.0 은 인터넷의 그 본래의 의미를 되살려 사용자의 참여와 사용자가 만들어가는 컨텐츠를 보여주며
웹기획자들로 하여금 " 아 그래 이렇게 컨텐츠가 생성되고 발전하고 확장되어가는구나 " 라는 경험을 하게 해주었다
푸시로 주어지든 정보가 아니라 이용자들 스스로가 스스로에게 정보를 주고 만들어 가는 이상향이랄까..
어쨌든 그렇게 한때 각광을 받던 그 친구들은 하나둘 우리곁을 떠나거나 또는 색을 조금 바꾸며 모르는듯 낮빛을 바꾸고 있다

마이스페이스의 한국에서의 철수..
 ( 마이스페이스는 앞서 글 참조 굿바이 마이스페이스 )

그리고 2기 SNS의 대표주자격이었던 피플투의 충격적인 폐쇄.. 누가 예상했겠는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비스하며 언론 및 모든 부분에서 조명을 받았던 피플투는 관계의 단계에서 가치 교환의 단계로
진화중이라던 김도연 대표의 말은 구름처럼 날아가고 사라지며 대학생 상금까지 지급안하여
한국형 벤처 모럴 헤저드 라는 말까지 듣고 있다 ( 피플투, 한국형 벤처 모럴해저드? 대학생 상금 지급안해 )

여기에 이어 웹2.0의 선봉이었던 UCC 서비스 그리고 한국에서의 최초의 UCC 서비스 한국의 유튜브라고 자칭했던
엠엔케스트의 오랜 서비스 중지(무려44일간) 물론 현재는 다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 위태 위태한 UCC 서비스 시장 )

사실 위의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이 다 호평을 하고 조명을 받은 서비스들이지만 이 좋은 서비스들도 수익성을 만들지 못하면
이 자본사회에서 서비스 종료는 자명한 일이다.

[ 수익성 개선을 위안 대안으로 웹하드를 선택하는 웹2.0 서비스 ]

그리고 여기 플랜다스 라는 SNS 서비스가 있다 랭키 200등내를 유지하며 꽤나 호응을 받고 있는 서비스인데
현재 해당 서비스를 방문해보면 기존 서비스는 한단계 물러나 있는 모습이며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익성의 타개를 위해 어쩔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겠지만 자신의 주력 서비스 자체를 뒤로 한채 저작권 문제로 말이 많은
웹하드를 전면으로 내세운 모습이 내심 씁쓸하지 않을수가 없다.


플랜다스 뿐만 아니라 44일동안의 운영비 부족으로 서비슬 중단했던 엠엔캐스트 또한 수익화를 위해 웹하드를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이에 앞서 동영상 서비스 5위에 랭크되어있던 엠군 또한 위디스크와 제휴를 통한 웹하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오픈 후에 네티즌 부터로 확실한 지지를 받으며 승승 장구 하고 있는 온라인 신문인 부채질닷컴 또한
웹하드 서비스를 짱파일(미디어엔넷, 클루넷)과 제휴를 통한 웹하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많은 중소 커뮤니터 서비스 등이 수익성 개선을 위하여 웹하드 서비스를 제휴를 통하여 제공하고
또는 제공할 예정이다.


물론 수익성 개선을 위하여 웹하드 서비스를 채용하는것이 문제가 있는건 아니다.
1. 태생 본질의 진정성 서비스에 소흘
다만 해당 서비스의 태생의 본질이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왔던 사용자들로서는 점차 해당 서비스가 수익에 맞추어져
서비스 하다 보면 본질의 서비스에 점차 소흘해 지기 마련이다.
2. 왜 웹하드 서비스.
또한 웹하드 서비스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말은 아니지만 고의 이든 고의가 아닌 방조이던 저작권 및 불법 음란물로 인해 현재 정부 및 각종 저작권 업체로부터 업체 및 사용자까지 법적 공격을 받고 있는 서비스를 그동안 자신의 태생의 서비스를 소중히 사용해온 고객들에게 제공하여야 했는가 
해당 제휴를 통한 서비스의 경우  대부분이 기존의 웹하드 업체들 보다 소흘한 저작권 관리를 하고 있어 명확한 가이드도
없는 곳이 많아 해당 부분에 무지한 사용자의 경우 자신도 모르게 범법자가 될수도 이다.
물론 웹하드 서비스가 당장 큰 수익을 내어줄지는 모르겠지만 점차 저작권테두리내로 들어오게되면 당장의 수익성이 곧
사라 질것이라는 것이 확실하다.

정말 좋은 서비스를 하고도 수익을 내지 못해 정말 좋은 서비스를 점차 뒷전으로 할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겠지만
다만 아주 조금 자신의 가장 큰 무기인 태생의 본질의 서비스에서 보다 조금더 고민을 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것이 너무 아쉽다.
( 포털이 아닌 물론 당장의 수익을 볼수 밖에 없는 우리네 중소 웹서비스 업체들이여...)

그냥 주절 주절
posted by 망차니

설정

트랙백

댓글

웹하드의 강자 - 나우콤의 스티큐브, 세컨드라이브

렛츠웹 + 게임/IT News 2009. 2. 11. 14:20
국내 최대 웹하드 클럽박스, 피디박스를 서비스하고 있는 나우콤이
한꺼번에 두가지의 서비스 런칭을 준비하고 있다
물론 두개다 웹하드의 최강자 답게 웹하드 서비스이다

그 첫번째가 스티큐브 ( http://sticube.clubbox.co.kr/ ) - 개인형 웹하드
현재 베타테스터를 진행중이며 5G 가 자료실을 제공하여 일반적인 웹하드 기능을 그대로 제공하며
아이콘형태의 붙여넣기로 대용량의 첨부파일을 어디서나 손쉬게 이용할수 있게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이미지 파일 미리보기와
음악 파일 재생 기능을 담고 있어 블로거나 개인 홈피 등에서 배경음악등으로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다.
하지만 저작권 관련 광풍이 몰아치고 있는데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다는건 현재는 좀.. 그러나 해당 서비스를 음악관련
저작권 문제를 해결한다면 (물론 비용을 지불하고 지정된 곳에서 재생등의 조건을 단다면..) 그동안 미니 홈피 등에서만 배경음악서비스르 이용하던것을 모든 개인 홈피와 블로그에서 이용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이 든다

ㄱ.스티큐브 실행 모습 - 폴더를 자유롭게 만들수 있고 파일 이동 삭제등이 자유롭다.

ㄴ. 최초 업로드 모습
           ( 웹으로 새창이 뜨는데 조금 쌩뚱맞긴 하다 - 엑티브X 를 쓰기보단 전용 업로드 브라우저를 이용하는것이 어떨지 )
ㄷ. 업로드 진행 모습 - 해당 창을 개편해 위의 업로드 창의 기능을 넣을수 있음 좋겠다

ㄹ. 위젯 만들기 - 가장 새롭게 유용한 기능인
                             다른 곳에 해당 파일의 다운로드나 음악 미리 듣기등을 붙일수 있는 기능을 만들수 있다

ㅁ. 다른곳에 붙였을때의 모습
                - 이미지나 기타 파일 업로드시 모습 - 해당 부분을 클릭시 다운 받을수 있다 (아이콘의 파일종류에 따라 바뀐다)
                - 미리듣기 모습 (블로그에 붙인 모습) -  미리듣기란건 머 그냥 다운않고 듣든다는 의미로 다운도 가능하다


어쨌든 스티큐브는 개인형 웹하드로서 
블로거나 기타 게시물 등재시에 대용량의 첨부파일을 편하게 첨부 할수 있다. 현재 베타테스트 진행으로 방문후 신청하면 이용해 볼수 있다.
-------------------------------------------------------

그 두번째는 세컨드라이드 (www.2ndrive.com)
세컨드라이브는 스티큐브가 개인형 웹하드 중심이라면 여기에 추가하여 공유기능이 강화된 공유형 웹하드라고 말할수 있다
특징으로는 웹하드가 가상드라이브 형태로 잡혀서 윈도우 탐색기처럼 Drag&Drop 을 지원하여 별도 업로드 / 다운로드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실행 또한 그저 더블클릭으로 가능하다.
여기에 전형적인 공유형 웹하드 기능인 친구 추가를 통하여 친구의 공유된 세컨드라이브 폴더를 접근하여 다운이 가능하다.
(물론 친구 폴더에 당연히 업로드는 안되겠지요 )

기존의 피디박스나 클럽박스가 전용 브라우져 형태가 없었던 점을 보완하여 파일 관리 및 공유가 더욱 편리해졌다.
해당 새로운 서비스는 현재의 무섭게 몰아치는 저작권 분쟁으로 인해에서 시작 되었다고 생각이 된다.
(http://letsweb.tistory.com/entry/웹하드-영화제작가-협회-합의)
전형적 폐쇄형 피디박스나 클럽박스가 전용브라우져 없이 외부 검색 제공 형태로 제공되던것이 해당 서비스가 점차 어려워 지자
공유형 웹하드의 전형적 기능인 친구 추가등의 기능을 추가한 새로운 브라우져를 내세운것이라고 추측이 된다
물론 해당 부분은 불특정 다수의 공개적 공유가 아니라 친구들끼리 추가한 사람에 한해서만 공유가 되기 때문에 좀더 저작권
문제로 부터 해당 제공사인 나우콤은 조금은 자유로워 질꺼라는 ....그런 판단이 아닐까..
주절 주절..


posted by 망차니

설정

트랙백

댓글

웹하드 = 영화제작가 협회 합의

렛츠웹 + 게임/IT News 2009. 1. 15. 16:29
15일 이번 합의의 주요 내용은 그동안 제협에서 진행해오던 ▲민사사건 취하, ▲합의서 체결일 이전 저작권 침해 합의금, ▲합의서 체결 이후 저작권 침해 방지(검색 금칙어 등록, 저작권 침해 게시물 통지 및 즉시 삭제 및 해쉬값 필터링을 통한 재유포 방지, 기타 제협과 DCNA가 협의하여 장래 채택하는 추가적인 저작권침해방지기술 등), ▲저작권 침해방지를 위한 인원을 두고 OSP들의 사이트를 열람하고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충분한 기술적 방법과 법률적 권한을 제공, ▲저작권을 침해한 이용자에 대해 상당한 기간 내에 1차 경고, ▲누적 3차 이상 침해한 경우 강제로 가입해지 또는 퇴출, ▲재가입 불허, ▲합의의 해석과 성실한 이행을 위한 협력위원회 구성 등이 포함됐다.

---------------------------------------------------------------------------------
불법 다운로드의 온상이라고 말하던 p2p, 웹하드 업체와 제협이 드디어 오늘 합의를 봤고 또한 음제협과의 합의도 진행중이라고 한다
과거의 침해 합의금에서 조금의 마찰이 있다고 하는데 서로 상생의 걸음을 내딪는 순간에 조금씩 양보를 통해서 해야겠지요..

하지만 문제도 있다

첫째, 쇼박스, CJ등의 투자배급사들이 함께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것
(  별도 온라인 유통 시장을 생각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

둘째, 전체의 p2p, 웹하드업체들이 참여하는것이 아니고 (80%라고 하지만 휠씬 못미친다)

셋째, 과금 금액의 상승으로 (기존 몇백원에 영화하나가 최고 3000원으로) 회원들의 이용 메리트 상실 및 업체 수익성 악화
 (사실 웹하드는 회선비와 장비비용이 만만치가 ..)와 이에 따라 합의에 참여한 업체들에서 참여하지 않은 업체로의 회원이동이 유력시 되며 (신규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는 웹하드 업체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

넷째, 회원 업로드 파일의 실시간당 관리 가능 여부 ( 압축해서 올리거나 조금만 가공하면 해쉬코드가 달라져 저작권 파일로 인식하지 못하여 재등록하여야함 )

다섯째, 씨네21i 에서 진행하는 drm 걸린 형태의 동영상 다운로드가 과연 사용자가 이용할지 여부 ( 동영상을 플레이할때마다 온라인상으로 체크하는 형태 -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볼수 없고 모든 컴에 해당 모듈을 설치해야하는 불편함 )

여섯째, 드 넓은 인터넷의 바다에서 어떻게 끊임없는 모니터링이 가능할지 (신규업체등)
(치고 빠지는 업체들.. 근래에 경품으로 페라리를 내세웠던 김밥웹하드가 꽤나 문제가 되고 있듯이 )

기타 여러 문제들...

이런 모든 문제들을 딛고 상생적인 관계로의 발전이 계속 될지 지켜 볼일이다

posted by 망차니

설정

트랙백

댓글